산현목장 지도 이미지

산현목장 1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20,258
개방서비스명
가축사육업
개방서비스아이디
02_04_01_P
개방자치단체코드
4,170,000
관리번호
417,000,003,320,050,015
인허가일자
2005-02-03
영업상태구분코드
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
상세영업상태명
정상
소재지면적
0
소재지우편번호
476-873
소재지전체주소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송현리 ***-* ,***,***,***,***-*,***-*,*,*, ***-*
사업장명
산현목장
최종수정시점
2024-05-29 10:18:05
데이터갱신구분
U
데이터갱신일자
2024-05-31 02:40:00
좌표정보x(epsg5174)
128
좌표정보y(epsg5174)
37
축산업무구분명
가축사육업
축산일련번호
227
권리주체일련번호
0
총직원수
0
주사육업종
젖소

블로그 리뷰

  • 산현목장 | [충남] 예산 여행지 추천

    조선 후기 서화가이자 금석학의 대가인 추사 김정희선생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수 있는 추사기념관 건립 추진으로 김정희 선생의 드높은 서예정신과 위대한 업적을 고취시키는 등 문화유적 탐방객에게 자긍심 고취하고자 만들어졌다. 추사의 지혜와 고고함이 배어있는 추사고택 한채, 한채를 걸쳐 걷다보면 기둥마다의...

    Dream Destination(2023-07-27 16:39:50)

  • 산현목장 | 진도 동산, 진도읍성, 철마산, 북산, 망적산

    뇌산현(군) 때 산성을 쌓아서 관방처로 삼았다.”고 밝히고 있다. 이곳은 지형이 북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으로는 암벽이 곧추서 있다. 여기에서는 신안군의 여러 섬들뿐만이 아니라 진도군과 해남군의 북쪽 해안지역이 잘 조망된다. 철마산은 북산 또는 망적산이라고도 불리는데,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

    인생은 0(2025-03-11 05:26:32)

  • 산현목장 | 해남지명유래

    진산현이다.”라는 기사가 있다. 이때까지 죽산현과 진산현이 해남현의 속현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권37 해남현 조에 두 현이 고적(古跡) 조에 기재되어 있다. 아마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편찬이 마무리된 1530년 이전에 두 현이 없어진 것이다. 『신증동국...

    천기철의 남도이야기(2023-09-07 10:27:00)

  • 산현목장 | 신안천사대교지나며..암태도에서 자은도~팔금도~안좌도로..2019.04.05

    시대에는 목장으로 말을 사육하였으며, 일제 강점기 때는 일본 수군 진지로 이용되었다. 구영리에 복룡사가 있고, 유천리에 도명사가 있다. 주민들은 어업 보다는 주로 농업에 치중하며, 2007년 말 현재 경지 면적은 논 7.76㎢, 밭 10.19㎢, 임야 29,13㎢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의 생산이 많고 그 밖에 양파...

    부산서니여행사(국내여행/해외여행/제주도/울릉도)(2019-04-09 13:16:00)

  • 산현목장 | 해남뿌리 찾기 자료 모음(1)

    죽산현이라 명명1600년간 현산 고현이 중심지조선 세종 지금의 읍으로 이전해남이라는 이름은 언제 생겼을까. 해남이라는 지명은 고려 태조 23년 때인 940년에 처음... naver.me * 다시 읽는다 해남역사 ③ 해남에 남아있는 일본 무덤 양식 다시 읽는다 해남역사 ③ 해남에 남아있는 일본 무덤 양식 - 해남우리신문 삼산...

    김선생의 광주사랑(2022-07-31 15:44:00)

  • 산현목장 | [스크랩]5. 해창만 포구의 토착민·왜·진도 사람들

    녹산현, 사라향의 치소가 형성되었고, 4C전후에는 옹관토착세력의 중심지와 일본의 전초기지가 되기도 했다. 역사기록에는 삼산천 물길의 옛 포구들로 어성포와 해창, 어란포, 삼촌포가 보이며 인근에는 고려시기의 백야포(읍 백야리, 염창(鹽倉)이 있었음)를 비롯해 우음도포(읍 부호리), 종천포(읍 남천리 학관이 세를...

    gebby의 데쟈뷰 ....(2009-04-25 21:15:00)

  • 산현목장 | [스크랩] 백두대간의 꿈! 진부령에서~향로봉까지 -終-

    열산현(熱山縣)으로 개칭하고 1018년에 高城郡 屬縣이 되었다.(마기라현은 현재 간성읍 하리일대를 말한다) -엠파스백과사전에서 인용- 麻耆羅山과 麻耆羅縣 중 어느 곳이 먼저 지명되어 졌는지에 대해 알 수 없지만 麻耆羅縣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麻耆羅山을 진산으로 하여 祭祀를 지내고 했던 歷史的인 곳이...

    운 해 의 산 방(2008-07-30 13:44:30)

  • 산현목장 | [스크랩] [스크랩] 백두대간 지명 해설 #2(여원재~구시봉)

    모산현이라 하였으며 따로 이 아막성(阿莫城),아영성,경덕,운성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이를보면 운봉은 신라후기에 생긴것임을 알수있다. 이무렵 백제의 군사기지는 남원에 있고,신라의 군사기지는 모산에있어 이때 백제는 신라를 막기위해 수정산성,준향산성,합민성,가산산성,성리산성의 여러 성을 두었고, 백제는...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2013-06-28 10:46:48)

  • 산현목장 | 마한 목지국은 예산에 있었다

    직산현조 서거정의 제원루기에 기록되어있는데 서거정의 시서에 “사신으로 영남에 갈 제 직산을 지나게 되었다. 직산 객관 동북에 한 누각이 있기에 올라가서 조금 쉬다가 주인에게 묻기를 ‘이 누각이름을 무엇이라 하는가?’ 하니 주인이 알지 못하여 온조가 부아악에 올라가서 살 만한 곳을 찾다가 하남 위례성에...

    위례백제연구원 - 慰禮百濟硏究院(2009-08-25 16:43:58)

  • 산현목장 | 해남의 관정

    진산현이며, 진도에서 진도군과 가흥현, 임준현이 들어왔다. 1412년(태종12_ 해진군의 치소를 옥산현에 옮겨 영읍(營邑)한다. ​ 이것이 지지류에 보이는 ‘옥산폐현고지사라향(玉山廢懸古之絲羅鄕)’으로 지금의 삼산면 계동리 뒷산인 성뫼산 토성이다. 1437년(세종 19) 해남과 진도를 다시 나누어 해남현으로 복귀하고...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15 14:0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