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양돈 지도 이미지

구암양돈 3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91,188
개방서비스명
가축사육업
개방서비스아이디
02_04_01_P
개방자치단체코드
4,781,000
관리번호
478,100,003,320,050,028
인허가일자
2005-04-12
영업상태구분코드
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
상세영업상태명
정상
소재지면적
0
소재지우편번호
585-931
소재지전체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 ***
도로명전체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노평길 **
사업장명
구암양돈
최종수정시점
2018-01-16 17:40:42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24-01-19 01:16:45
좌표정보x(epsg5174)
127
좌표정보y(epsg5174)
35
축산업무구분명
가축사육업
축산일련번호
51
권리주체일련번호
0
총직원수
0
주사육업종
돼지

주변 가축 인공 수정소

블로그 리뷰

  • 구암양돈 | 매당 양돈(楊敦)의 임실 광제정(光霽亭)

    조선 후기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큰 줄기를 형성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 정조22~1876 고종13)의 광제정중건기(光霽亭重建記 / 光霽 故上庠梅堂楊公諱墩亭號也) 등이 보관되어 있다. ​ 기정진은 중건기에서 처음 양돈(楊敦 1461∼1512)이 세웠던 정자의 터에서 십 리 정도 떨어진 감은산(甘隱山) 아래에 터를...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3-25 05:49:00)

  • 구암양돈 | 순창군 - 고려직제학양수생처열부지려, 구암정, 석산리 마애여래좌상, 어은정

    조선후기 성리학자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쓴 ‘열부이씨전(烈婦李氏傳)’이 수록되어 있으며, 정려비는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얘기가 전한다. -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설명에서처럼 정려 안에는 비석이 서 있습니다. 비의 앞면에는 문화재 명칭과 동일하게 '고려직제학양수생처열부이씨려'라고...

    강토의 사진(문화유산)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0-04-16 21:20:00)

  • 구암양돈 | 봉산군(鳳山郡)_황해도 지도 및 개황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대표적 예로 평가되고 있다. ​ [근 대] ​ 1935년 당시 군청 소재지인 사리원읍과 13개 면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인구는 1942년에 총 2만 7119가구, 14만 6815명이었다. 한글을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연구해 학문적 체계를 세운 주시경(周時經)이 근대의 대표적 인물이다. ​ 독립운동가로는 상해...

    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2022-06-14 11:50:00)

  • 구암양돈 | 왜관읍 지명유래 - 경북 칠곡군 왜관읍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왜구(倭寇)의 노략질이 심해지자 이를 막을 목적으로 태종(太宗) 때 왜관을 설치하여 일본인 사신이나 교역자들을 머물게 하고 물자를 교역하게 하였다. 당시 관(官)에서 관리하던 왜관으로는 부산포[초량], 제물포[창원], 염포[울산] 및 서울 동성관[현 인사동] 등이 있었다. 임진왜란 후...

    (2017-08-08 18:53: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