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봉농장 지도 이미지

귀봉농장 3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77,203
개방서비스명
가축사육업
개방서비스아이디
02_04_01_P
개방자치단체코드
4,701,000
관리번호
470,100,003,320,240,009
인허가일자
2024-02-02
영업상태구분코드
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
상세영업상태명
정상
소재지전체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
도로명전체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요천상로 ***-**
도로명우편번호
55,709
사업장명
귀봉농장
최종수정시점
2024-02-02 10:53:06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24-02-04 00:16:04
좌표정보x(epsg5174)
127
좌표정보y(epsg5174)
35
축산업무구분명
가축사육업
축산일련번호
1,839
권리주체일련번호
0
총직원수
0
주사육업종
한우

주변 가축 인공 수정소

해솔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 732-12

'귀봉농장'에서 5.34km

바로가기

남원제일가축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금동 252-16 성림장

'귀봉농장'에서 11.15km

바로가기

하나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용두리 894

'귀봉농장'에서 11.82km

바로가기

인월가축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 260-3

'귀봉농장'에서 12.18km

바로가기

산서가축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 725

'귀봉농장'에서 12.58km

바로가기

새한 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413-4

'귀봉농장'에서 13.47km

바로가기

시골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동화리 194-6

'귀봉농장'에서 14.19km

바로가기

본초한우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 1230

'귀봉농장'에서 14.56km

바로가기

오수동물병원 가축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390-18 백두사료

'귀봉농장'에서 14.82km

바로가기

태성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 1041

'귀봉농장'에서 15.19km

바로가기

황선환가축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흑송리 352

'귀봉농장'에서 15.66km

바로가기

해마인공수정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 641

'귀봉농장'에서 15.96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귀봉농장 | 한양의 고관대작은 어디가고 안동양반만 남았네

    나라에서 농장이 아름답기로 영남이 으뜸이다. 그런 까닭에 사대부가 지난 수백 년 동안 역경에 처해 왔음에도 그 존귀함과 부유함은 쇠잔하지 않았다. 풍속에 따라 집집마다 한 조상을 모시고 한 터전을 차지하니 종족이 흩어지지 않고 그곳에 모여 산다. 이런 까닭에 그들의 신분 유지가 공고하고 뿌리가 뽑히지...

    영남좌도 역사산책(2025-07-12 07:42:00)

  • 귀봉농장 | ◈조선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1.16세기 영양의 인물과 문화 1)16세기 조선의 정치적 상황 16세기 조선사회는 연산군이 재위하면서 무수한 선비들이 화를 당하는 소위 4대 사화(巳火)가 발생한 시기이다. 영남사림의 종장으로 추앙받든 점필재 김종직 선생이 조의제문을 지어 간접적으로 세조의 단종을...

    晛溪 斗井軒 SUGISA(2021-11-20 08:19:16)

  • 귀봉농장 | 선비의 고장! 영주(榮州)를 찾아서... 제Ⅱ편 : 소수서원(紹修書院)

    주말농장에서 한우에 영주 가전명주인 오정주로 저녁 만찬을, 그리고 간식으로 순흥 기지떡을 맛보는 즐거운 하루가 되었다. 한국선비문화수련원에서 한옥체험을 하며 첫째날의 피로를 풀고, 둘째날은 순흥 묵밥으로 점심을, 귀경길에 이천쌀밥정식으로 저녁식사까지 하였으니 이틀동안 맛집만 찾아다니며 입을 즐겁게...

    왕마구리의 산행(2012-11-15 23:36:26)

  • 귀봉농장 | 광복70주년 독립유공자의 흔적을 찾아서 (안동)

    주었다. 귀봉 종택과 추파 고택을 지나 의성김씨 종택을 돌아보았다. ​ 백하구려(白下舊廬)는 구한말(舊韓末)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애국 계몽(愛國啓蒙) 및 조국 광복(光復) 운동에 몸 바친 백하 김대락(金大洛). 1845~1885에 건축한 가옥이다. 정면 8칸, 배면 5칸. 측면 5칸의 '口' 자형 기와집이다. 김대락은 1907...

    CheongSann 시와 영상의 방(2015-05-05 11:21: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