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연 지도 이미지

이병연 16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5,143
개방서비스명
가축사육업
개방서비스아이디
02_04_01_P
개방자치단체코드
3,730,000
관리번호
373,000,003,320,060,105
인허가일자
2006-04-28
영업상태구분코드
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
상세영업상태명
정상
소재지전화
052-263-6581
소재지면적
0
소재지우편번호
689-803
소재지전체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다개리 ***-*번지
사업장명
이병연
최종수정시점
2014-07-28 15:40:28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18-08-31 23:59:59
좌표정보x(epsg5174)
129
좌표정보y(epsg5174)
36
축산업무구분명
가축사육업
축산일련번호
610
권리주체일련번호
0
주사육업종
한우

블로그 리뷰

  • 이병연 | 조선의 브로맨스, 겸재 정선과 사천 이병연

    위의 이병연 시 중 앞 두 구절이다. 겸재 정선은 중국풍 관념산수가 주류를 이루던 때 실제의 경치인 실경實景, 진경眞景을 그린 조선 최고의 거장이다. 그는 조선 산수화에서 우리 산천을 그림으로 옮긴 '진경산수'로 한국회화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경교명승첩’은 서울 근교와 한강변의 명승명소를 그린 진경...

    아티스트 李盾炯이순형의 '예술인문학'(2025-06-14 17:36:00)

  • 이병연 | [겸재정선미술관] 이병연과 겸재 정선, 당대 조선 최고의 시인과 화가의 만남: 그들의 특별한 인연은?

    이병연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병연은 누구이며, 정선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사천 이병연(槎川 李秉淵)은 누구인가요? 이병연(1671~1751)은 조선후기 영조 때 활동했던 시인인데요. 그는 삼연 김창흡의 제자로 부사(府使) 등의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 당시 그의 시는 많은 사람들...

    황금곰의 대학일기(2024-12-01 17:43:00)

  • 이병연 | 사천 이병연 - 차봉서원(次奉西園)

    음율을 차운하다. 문장을 새로 짓는 것이 아니라, 고문(古文)의 형식을 따르되 그 '음'만 빌려서 쓴다는 뜻이다. 자수와 각운을 맞추어 글을 쓰는 것으로 조선후기에 유행하였다고 한다. "귀거래사의 시에 차운하여 주다."로 사용하는데, 누구의 고문을 차봉했는지 찾지 못했다. 사천 이병연, 차봉서원(次奉西園) 1740년...

    열정과 절제(2025-05-27 08:17:00)

  • 이병연 | 겸재(謙齋)정선(鄭敾) 호암 미술관

    정선이 사망한 1759년 경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화첩으로, 서울 근교와 한강 변의 명승지를 담은 진경산수화이다. 정선이 교류한 조선후기 대표 시인 이병연 (李秉淵, 1671~1751)의 글이 함께 수록되어 시와 그림이 어우러진 작품이다. 서울 근교의 명승지를 산뜻한 색감과 차분한 분위기로 그려냈으며, 청록채색...

    사색의 산책(2025-04-20 16:28:04)

  • 이병연 | 정선(鄭敾), 겸재, 진경 산수화의 창시자

    또 당시 유행하게 된 시서화 일체 사상을 중시하던 문인들 사이에 참여하여 자신의 교양을 높이거나 창작하는 계기를 얻게 되었다. 특히 이병연(李秉淵) 같은 시인(조선후기 "사천시초"를 저술한 시인)과의 교우를 통하여 자기 회화 세계에 대한 창의력을 넓히고 일상적 생활의 주제를 회화로 승화시킬 수 있는 자극을...

    소소한그날(2025-06-16 16:00:53)

  • 이병연 | 인왕제색도-이병연에게 / 최도선 시인

    인왕제색도* -이병연에게 ​ ​ 최도선 시인 ​ 오랜만에 비가 그쳐 동창을 열었더니 물안개 사이사이 암봉들이 드러나고 인왕의 둥긋한 자태 장대하게 다가왔네 운무...병이 깊음을 알고 쾌유를 기원하며 그린 그림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는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의 대표작. 영조 27년(1751)에 동쪽에서 본 서울 인왕산을...

    명시감상 전시우시인 방(2025-02-13 17:47:00)

  • 이병연 | ☆ 파탄 난 브로맨스

    ● 겸재 정선과 문인 사천 이병연 ​ 조선 후기 화가 겸재 정선과 문인 사천 이병연은 서울 서촌에서 태어나 평생 절친한 벗으로 지냈다. ​ 사천이 시를 쓰고 겸재가 그림을 그려 시화집도 함께 냈다. 1740년 타지에 부임하게 된 사천이 벗과의 잠시 이별을 아쉬워하는 시를 썼는데 남녀 간 연서처럼 애틋했다. ​ '자네와 나...

    뽀송이의 블로그(2025-06-09 07:22:00)

  • 이병연 | 매화 보러 떠나는 정선의 그림에 쓴 이병연의 시

    경외명승첩(京外名勝帖)’을 만들었다. 그 첩에 이 그림이 있다. 정선은 이병연과 시화(詩畫)를 주고받으며 교유했다. 두 사람은 ‘시화환상간(詩畫換相看...영조 집권기 ‘그림 겸재, 시 사천’이라는 구도(?)를 형성하며 조선 후기 문예를 부흥했다. 그림 속 인물은 눈 덮인 양천평(陽川坪) 잔로(殘路)를 따라 나귀를...

    후반생은 수필처럼...(2025-02-26 01:00:00)

  • 이병연 | 정선 필 인왕제색도(국보 216)

    1676년 조선왕 19대 숙종부터 1759년 21대 영조 때까지 사셨다. 조선시대 평균수명이 30세인걸 감안해 볼 때 겸재 정선은 꽤나 건장하신 분이었던 것 같다. ​ 이병연 (李秉淵) (1671-1751)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영조시대 최고의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역시 80세로 장수하신 분이다. 겸재 정선보다 5살 많은 형이며...

    Joey'z Travel(2025-05-16 17:50:00)

  • 이병연 | 정철 관동별곡 완전 분석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필수 고전시가 해설

    웅장함 문학사적 계보와 영향 관동별곡은 조선 전기 가사문학에서 후기 기행문학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했습니다. 후대 김창흡, 이병연 등의 기행가사와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기행문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작품 감상과 현대적 의의 관동별곡이 오늘날에도 사랑받는 이유는 단순히 문학사적 가치 때문...

    리딩노트(2025-06-14 06:06:22)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