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운 지도 이미지

권대운 1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25,764
개방서비스명
가축사육업
개방서비스아이디
02_04_01_P
개방자치단체코드
4,241,000
관리번호
424,000,003,320,140,118
인허가일자
2014-02-28
영업상태구분코드
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
상세영업상태명
정상
소재지전화
552-0585
소재지우편번호
245-914
소재지전체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둔전리 ***-*
도로명전체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오두재로 ***
도로명우편번호
25,902
사업장명
권대운
최종수정시점
2020-07-01 14:45:37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23-06-13 00:00:00
좌표정보x(epsg5174)
129
좌표정보y(epsg5174)
37
축산업무구분명
가축사육업
축산일련번호
798
권리주체일련번호
0
총직원수
0
주사육업종
한우

블로그 리뷰

  • 권대운 | 박태보전 / 체제를 지키려 했던 순교자

    영의정 권대운이 박태보의 처분에 대한 의견을 숙종에게 전합니다. ​ ​ "... 이어 박태보의 죄상을 생각하면 죽여도 아까울 것이 없습니다만, 누차 중한 형신을 받아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는데 더 형신을 가하면 끝내 항양 아래서 죽게 될 것이니, 전일 국맥을 손상시키게 될까 염려스럽다고 한 전교에 어긋나는 처사가...

    이단 독서단 - WELCOME TO MY BOOKSHEVES(2025-06-05 10:19:00)

  • 권대운 | [한국사] 95. 제19대 숙종 이순[肅宗 李焞] 1661~1720 (59세).

    4월 3일과 6일) 이이·성혼은 다시 문묘에 종사되었다(6월 23일). 영의정 권대운을 비롯한 주요 남인은 관직에서 쫓겨나거나 처벌되었다. ​ 핵심적 문제였던 중전...교체한 환국이 보여주듯이, 가장 강력한 권력자는 숙종이었다. 그는 조선 후기의 한 정치적 특징인 군약신강(君弱臣强)의 두드러진 예외였다. ​ 그러나...

    구송 박병수님의 블로그(2025-06-08 17:33:00)

  • 권대운 | 세종대왕은 정말로 신하들을 죽을때까지 부려먹었을까?

    내렸는데, 김유신이 664년에 처음으로 받은것을 시작으로, 고려 강감찬, 최충, 최충헌등이 받았고, 조선 전기에는 황희 이외에 매우 드물지만 후기에는 이경석, 이원익, 권대운, 허목, 남공철, 김사목, 민치구 등이 받기도 했습니다. ​ ​ (궤장을 하사하면서 큰 잔치를 베풀었기 때문에, 이를 받은 사람은 가문의 엄청난...

    세상의 모든 이야기(2024-10-23 14:10:00)

  • 권대운 | [대전 여행] 우암 송시열이 자주 찾았던 장소! 현재는 <우암사적공원>으로 조성! 탐방 후기

    환국 이전의 상태가 되었다. 반면, 남인측은 민암 · 이의징이 사사되고, 권대운(權大運) · 목내선(睦來善) · 김덕원(金德遠) · 민종도(閔宗道) · 이현일...않아 검색해보니 위 내용으로 나오는데, 너무 재미있네요..! 역시 조선 후기 희빈 장씨(장옥정) / 숙종 / 숙빈 최씨 등등 이러한 이야기 엄청나게 흥미롭네요...

    여행 공감(2024-12-11 19:48:00)

  • 권대운 | 윤휴, 사문난적, 송시열, 예송논쟁, 경신환국, 호포법

    조선 후기 문신, 성리학자, 유학자로 원시 유학에도 정통하였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字)는 두괴(斗魁), 희중(希仲). 호는 백호(白湖), 하헌(夏軒), 야보(冶父)이다. 송시열에 의해 일방적으로 사문난적으로 몰려 사형당하는 인물로 그려졌으나 실제적인 갈등은 예송논쟁 때부터다. 갑인예송으로 집권하였으나 5년 뒤...

    집단지성/잡스9급/기출해설/두문암기(2025-06-10 14:23:47)

  • 권대운 | 고려,조선조의 정승명단

    고려 후기, 조선 때의 관직명 중 하나이다. 고려 때는 문하시중이나 평장사 또는 찬성사를 정승이라 불렀고, 조선 때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삼정승과 정승급 대신들을 정승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국무총리나 국회의장, 대법원장이나 부총리급, 아니면 5선 이상의 국회의원들을 정승에 비교할 수 있다. 역대 정승...

    실과바늘(2025-06-05 17:40:44)

  • 권대운 | 후기[경제]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조선 후기 농촌 경제의 변화,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 조선...

    지는 전황 발생 ​ 상평통보 '상평'은 상시평준의 줄인 말로 항상 일정한 가치를 가진 화폐를 유통하려는 정부의 의도와 노력이 반영된 말이다. 숙종 때 허적, 권대운 등의 주장에 따라 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 널리 쓰였다. ​ 전황 돈을 가진 사람이 재산을 모으기 위해 화폐를 쌓아 놓고 돌게 하지 않아 시중에...

    萬綠叢中紅一點(2025-04-22 10:02:00)

  • 권대운 | 성호사설-조선의 백과사전이자 세상 만물 관찰기의 첫 문단은 중화주의 한계를 극복 못한 채 시작한다

    1700),권대운 손자 권중경(權重經, 1658~1728,오른쪽 끝 빨간 옷)이다.기로소는 현대로 따지면 명예의 전당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https://namu.wiki 5.성호사설은 성리학 체계 아래서 지배층의 부패, 명분 뿐인 도덕론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때문에 명백한 한계의 글들도 많다. 조선 초 실존 인물로 조선 제10...

    명작의 첫문단과 작가 이야기(2024-09-09 06:05:45)

  • 권대운 | 조선시대 화폐 이야기

    허적·권대운 같은 대신들이 변화하는 사회상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폐의 시행을 적극 건의하였고, 숙종은 신하들의 의견을 재차 구했다. 참석한 신하 대부분이 화폐 유통의 필요성에 공감하자 드디어 숙종은 호조, 상평청, 진휼청, 어영청, 사복시, 훈련도감 등의 기관에 명하여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돈 400문(文...

    안동사주작명철학원 054-853-5306,843-5306(2025-03-05 09:34:00)

  • 권대운 | 징대 가의 혼반 상세

    조선후기에 기호남인으로서 3형제 옥당과 형제 판서, 부자 판서라는 드문 열력을 보인다. 그들 자손의 혼가는 어떤 집안이었을까? 가족 승계의 어려움과 소수당이라는 정치적 불리 속에서도 입신이 빼어났던 그들 또는 그 후손은 혼반을 어떻게 꾸렸을까? 그 형편을 그들 혼반가의 가계를 추적해서 알아본다. ​ 1. 鼎運...

    gavagai님의 블로그(2025-06-06 14:0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